전기기사 시험에 단골로 나오는 제어동작에 대해 알아보고 암기해보자!
종류 | 특징 | |
P | 비례동작 | 정상 오차를 수반, 잔류편차 발생 |
I | 적분동작 | 잔류편차 제거 |
D | 미분동작 | 오차가 커지는 것을 미리방지 |
PI | 비례적분동작 | 잔류편차 제거, 제어결과 진동 |
PD | 비례미분동작 | 응답 속응성의 개선 |
PID | 비례적분미분동작 | 잔류편차 제거, 오버슈트 감소, 속응성 개선 |
P는 proportion(비례), I는 integral(적분), D는 differentail(미분) 의 약자이다.
이 표를 외우는 방법은 어렵지 않다.
포인트는 D 미분동작이다.
D가 포함되어있는 동작요소는 특이한 현상이 발생한다.
I가 포함되어있으면 적분동작=잔류편차 제거(ㅈ자 돌림임으로 외우기 쉽고..)
P는 썩 좋지않은 반응이 나오므로 D의 특성을 외우도록 하자!
D(미분) 단독: 오차가 커지는 것을 미리 방지 (미자 돌림!) [사전에 방지한다고 생각하자]
PD(비례미분): 응답 속응성 개선(피디응응)
물론 PID는 모든 장점을 합친것이다..
자동제어 특징에 관한 문제는 절대 틀리지 말자!
반응형
'전기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포정수 회로 이론 (0) | 2021.01.20 |
---|---|
그래프 라플라스 변환 (0) | 2021.01.18 |
근궤적 작성법(작도법) (0) | 2021.01.15 |
고조파 전력계산 (0) | 2021.01.12 |
4단자회로망 완전정복 [유형1] (0) | 2021.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