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전공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누전 원인과 해결책에 대해 그림으로 알아보도록 하자.
1. 누전차단기가 떨어지는 이유
1.1 누전이란 무엇인가
누전이란 아주 쉽게 표현하면 전기가 원래 지나다녀야 하는 정상적인 길에서 벗어나 가지 말아야 할 길로 가버리는 것을 뜻한다.
1) 원래 지나다녀야 하는 길: 전기 배선
2) 가지 말아야 할 길: 전기 배선 이외의 물체
1.2 왜 가지 말아야 할 길로 전기가 가버리는가?
전기는 사실 죄가 없다. 왜냐하면 전기는 무조건 저항이 낮은 곳으로 가는 본능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전기가 흘러야 하는 방향을 제외한 모든 곳을 폐쇄한다(=저항이 매우 높게 벽을 쌓는다)
하지만,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벽을 쌓아 높은 곳에 구멍이 뚫린다면 전기가 그 방향으로 도망 갈 가능성이 생긴다.
(원인: 전선 피복의 손상, 노후화 등)
그로인해서 전기가 도망가면 그 탈출을 감지해서 차단해 버리는 것이 누전차단기의 역할이다.
1.2 왜 누전이 일어났을 때 차단기가 내려가는가
위 설명대로 전기가 정해진 길을 가지 않고 다른 데로 도망가면 누전차단기는 그것을 바로 발견한다.
누전차단기: 전기 10마리가 출발 했으니 여기저기 다녀온 후 다시 10마리가 돌아오겠지~?
누전차단기: 분명 10마리가 출발햇는데 9마리밖에 도착을 안 했네? 차단기 내려!
2. 일반 실생활에서 누전이 발생하는 원인
우리가 일반적으로 누전이 발생하는 원인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된다.
1) 전선의 노후화
전선 피복은 고무로 이루어 져 있어 사용시간이 길어지면 낡고 약해진다. 피복이 벗 져지고 그 부분에 도체가 닿는다면 전기가 누전될 수 있다.
2) 최초 설치 시 협소한 공간으로 전선 씹힘
전선이 무리하게 꺾여져 설치되는 경우 피복이 손상되어 누전이 될 수 있다.
3) 물 등이 접촉해서 발생
화장실 등 물이 많은 곳에서 자주 발생하는데, 전선에 물이 닿아 있는 경우 물이 도체가 되어 전기가 도망가는 길이 될 수 있다.
3. 누전 원인 찾는 방법 (실전)
3.3 아파트 콘센트 누전 잡기
아파트 콘센트 누전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콘센트 구멍 자체의 누전이고, 두 번째는 벽 안쪽 전선에서의 누전이다.
콘센트 구멍 누전은 콘센트 자체를 교체하면 금방 해결되지만, 벽 안쪽의 전선에서의 누전은 대 공사가 될 수 있다.
1) 전자제품을 키면 누전차단기가 내려가는 콘센트 구멍을 분리해 보자
2) 위 사진과 같은 경우, 빨강 전선은 +, 흰색 선은 - , 녹색 전선은 접지선입니다.
( 사실, 가정내 전원은 교류전원이므로 빨간색, 흰색 전선 모두 전기가 통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3) 빨강 전선 및 흰 전선이 여러개가 묶여있는 이유는 각각 선이 다른 장소에 있는 콘센트 전선과 연결되어있기 때문입니다.
(앞서 설명 했듯이, 하나의 누전차단기는 여러 개의 콘센트 구멍과 맞물려있기 때문)
4) 묶여있는 빨강전선 및 흰색 전선을 풀어준다(아래 사진은 흰색 라인만 분리해놓은 상태)
5) 각각의 흰색 전선을 테스터기(메거)로 측정한다. (buzz 을 사용해서 전기가 통하는지 시험)
가. 메거테스트기의 적색 리드봉을 buzz 구멍에 삽입한다.
나. 적색봉과 흑색봉을 서로 닿게 해 보면 메거에서 알림음이 울린다(삐이 소리)
다. 삐 소리가 난다는 것은 전기가 통한다는 것이다.
라. 메거테스트기의 흑색 리드봉을 접지선(녹색) 선에 물리고, 적색 리드봉을 1,2,3번 흰색 선에 차례대로 물려본다.
마. 만약 2번에서 부저 소리가 울리면, 2번 라인에 누전이 생긴 것이다.
좌측 그림처럼, 메거테스트기에서 발생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가 없어 멈춰있어야 하는데,
우측 그림처럼 누전이 되어 다른 곳으로 빠져나갈 경로가 생기면, 부저가 울리는 것이다.
5) 소리가 나는 전선이 어디로 가는 전선인지 찾아야 한다.
만약 2번 흰색 선에 메거 부저가 울렸다면, 2번 흰색 선이 어디와 연결된 선인지 찾아야 한다.
사진1) 에서 흰색 선들의 가능성은 총 3가지이다.

가. 누전차단기에서 오는 선
나. 같은 장소 내 다른 콘센트로 가는 선
다. 아예 다른 장소 콘센트로 가는 선
1번 2번 3번 선들은 각 각 어느 장소로 가는 선들인지 눈으로 확인이 불가능하다(벽 안쪽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각각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면,
가. 누전차단기에서 오는 선
누전차단기에서 오는 선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1) 누전차단기의 2차 측 빨강, 흰색 전선을 서로 연결한다.

2) 분리한 콘센트의 빨강 선들에 메거테스트기의 흑색봉을 물리고, 1,2,3번 흰색선을 차례대로 부저 측정한다

흰색선 중에 하나가 부저가 울린다면, 그 선이 누전차단기에서 바로 오는 전선이다.
나.같은 장소 내 다른 콘센트로 가는 선
해당 전선을 찾으려면 또 다른 전선이 필요하다. 2.5sq 굵기의 전선을 이용해서 다른 콘센트의 흰색선과 연결해서 테스트해야 한다. 우울한 상황인 것이다
다. 아예 다른 장소 콘센트로 가는 선
위 상황도 매우 우울한 상황이다. 다른 장소로 가는 전선에 문제가 생긴 것은 벽체를 부수고 전선을 다시 깔아야 하는 상황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3. 만약, 벽체 내부 전선의 누전이라면 해결방법은?
정말 드문 일이지만, 만약 벽체 내부의 전선이 문제라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누전차단기가 내려가는 가장 흔한 이유는
1. 전자제품 누전
2. 콘센트 누전
3. 누수로 인한 전선 누전
정도인데,
벽 안쪽 전선이 문제 되는 경우는 매우 매우 드물다.
만약 벽체를 뜯어내고 전선을 교체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임시방편으로 벽체 내부 전선을 교체하지 않고
중선선과 핫라인을 교차시키는 방법 등 야매(?) 방법이 있지만,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절대로 하면 안 된다. 무조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대부분은 가정집 누전은, 노후된 주택에서 발생하기 쉽다.
일단, 누수 및 과도한 습기로 인한 누전인지 콘센트를 오픈해서 확인해 보고,
전선 노후화로 인한 누전인 경우 절연상태를 좋게 만들어 주어 해결하자
4. 총 정리
1) 누전은 크게
물(습기)에 의한 누전 | 전선 노후화로 인한 누전 | 본인이 사용하는 전자제품 문제 |
로 나뉘게 된다.
2) 누전이 발생되는 지점을 찾기 위해
가. 전자제품 이상인지 확인한다.(모든 가전제품 전원을 뽑고 차단기를 복구시킨 후 전자제품 하나씩 꼽아본다.
특정 가전제품을 꼽았는데 차단기가 떨어지면 그 가전제품의 문제일 가능성이 크다.)
나. 전자제품 이상이 아니라면 각 콘센트를 확인한다.
다. 메거측정 후 특정 전선이 문제인지 확인한다.
라. 특정 전선이 문제가 되는 이유(노후화로 인한 피복 벗겨짐 등)를 확인하고 조치한다.
지금까지 누전 원인과 대책에 대해 알아보았다. 전기는 안전이 최우선인 만큼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게 가장 현명한 방법 일 것이다.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더씽크 정수기 셀프 설치(전자식 절수기, 식세기 병렬설치) (0) | 2023.01.12 |
---|---|
외부인 무단 주차 문제 해결 방법(견인, 소송, 범칙금 등등) (0) | 2022.08.09 |
실시간 도로 현황 확인하는 방법(출퇴근길, 폭우, 성수기 활용) (0) | 2022.08.09 |
아파트 사전점검(하자점검) 대다수 사람들이 놓치는 점 (0) | 2022.08.02 |
코골이(수면 무호흡) 극복하는 방법 (0) | 2022.07.13 |